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Clean Architecture
- DiffUtilCallback
- compose
- android aac
- 의존성주입
- DI
- ColdStream
- 안드로이드
- 계층 분리
- 화면전환
- notifyDataSetChanged 대신 사용하기
- list adapter
- error
- 안드로이드 DB
- 앱개발
- 어댑터 효율적으로 사용하기
- hilt
- koltin
- 코틀린
- notifyDataSetChanged 비효율
- fragment
- 클린아키텍처
- 키보드 숨기기
- 뷰모델팩토리
-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구버전 다운받기
- SQLite
- Kotlin
- Android
- HotStream
- 다른버전 다운로드
- Today
- Total
목록GitHub (2)
DoReMi

github 용어 commit : 수정사항, 타인에게 수정사항을 알리기 위해 기록을 작성하는 것 repository : 깃허브가 가지고 있는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소 push : 원격 저장소에 내 코드를 업로드 pull : 원격 저장소에서 내 코드를 다운로드 branch : 작업공간을 나누는 것 merge : 병합, 여러 팀원의 코드를 합칠 때 커밋 컨벤션 feat :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경우 fix : 버그를 고친 경우 docs : 문서를 수정한 경우 style : 코드 포맷 변경, 세미 콜론 누락, 코드 수정이 없는 경우 refactor : 프로덕션 코드 리팩터링 test : 테스트 추가, 테스트 리팩터링(프로덕션 코드 변경 없음) chore : 빌드 테스크 업데이트, 패키지 매니저 실행할 경우(프로..
사용하는 곳 : GitHub - Repositories - README.md 에 작성할 때 MarkDown언어를 사용한다. README.md가 하는 역할 프로젝트를 요약해서 설명하는 공간 오랜만에 프로젝트를 확인했을 때 한 눈에 어떤 프로젝트였는지 기억할 수 있다. 포트폴리오로 유용하게 사용가능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어필할 수 있는 수단(예시화면, 기술스택, 패치노트) 기술스택, 배포버전, 기능변경, 구현화면, 팀원, 추후 수정사항 등 작성 MarkDown이란? MarkDown은 쉽게 쓰고 읽을 수 있으며 HTML로 변환이 가능하다. 특수기호와 문자를 이용한 매우 간단한 구조의 문법을 사용하여 웹에서도 보다 빠르게 콘텐츠를 작성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.